계절에 민감한 자동차
자동차는 날씨와 기온에 민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더더욱 신경 써서 관리하고 점검해줘야 합니다. 계절과 시기에 따라서 엔진오일, 냉각수, 배터리, 타이어 등 다양한 사항을 점검해야 합니다. 이렇게 정기적이고 주기적으로 점검함에도 불구하고 엔진이 떨리거나 소음이 생기고 출력이 떨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면 운전자 입장에서는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언제 어디서든 생길 수 있는 엔진 떨림 부조현상에 대해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도록 자세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엔진 부조 현상 이란?
자동차 엔진 부조 현상이란, 일종의 떨림 증상을 말합니다. 자동차마다 느껴지는 진동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운전자 입장에서 느꼈을 때 이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엔진 부조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엔진 부조 현상은 공회전 불량, 엔진 출력 저하와 같은 문제를 동반할 수 있으니 제대로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 부조 현상 원인
1. 맵센서 이상
맵센서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가스를 통과하는 흡기 매니폴터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말합니다. 맵센서가 전압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면 전압 출력이 어려워져 엔진의 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맵센서와 연관 있는 흡기 매니폴드의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도 압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부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산소센서 이상
산소센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내의 산소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산소량에 따라서 자동차 연료 공급을 조절해주는데요. 이때 산소량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서 연료 공급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할 때 자동차 엔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소센서에 이상이 생긴 경우, 차가 멈춰 공회전 시 엔진 부조나 시동 꺼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점화플러그 이상
자동차 점화플러그는 자동차 내부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가 폭발하여 에너지를 낼 수 있도록 불꽃을 만들어주는 장치입니다. 엔진 부조는 자동차 출력 부족 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 연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면 엔진 출력이 정상 수치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엔진 부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 특히 엔진 부조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낮아진 기온으로 엔진오일, 점화플러그, 배터리 등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연료를 연소해야 하는 순간에 제대로 연소가 일어나지 않아 생기는 증상이라 운행 중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날씨가 풀리면 조금 나아질 수 있지만, 원인을 찾고 대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정차 중에 시동이 꺼지거나 엔진의 떨림,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정비소에 방문하여 점검을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 방법 혜택 조건 초보운전 장롱면허 필수 (0) | 2023.01.09 |
---|---|
자동차 급발진 현상 사고 대처 방법 예방하는 방법 매뉴얼 (2) | 2023.01.09 |
자동차 문콕 사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0) | 2023.01.05 |
겨울철 와이퍼 관리하는 방법 주의할 점 알아보기 (0) | 2023.01.04 |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주기 시기 체크 방법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