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이야기

겨울철 와이퍼 관리하는 방법 주의할 점 알아보기

by 뱅쿠 2023. 1. 4.
728x90
반응형

겨울철 와이퍼 관리는 필수

겨울철에는 한파로 인해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여러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눈과 추위로 인해서 차량 관리에 대부분 어려움을 겪으실 겁니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자동차를 잘 관리해줘야 하는 것은 필수 중에 필수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자동차 와이퍼를 관리하는 방법과 주의할 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와이퍼 관리 방법, 주의할 점

1. 눈, 성에 제거 후 와이퍼 작동하기

눈이 많이 오거나 앞유리에 성에가 가득 생겼다면 일부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털어낸 후에 운전을 시작해야 합니다. 급하다고 눈이나 성에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고 와이퍼를 작동하게 되면 와이퍼의 너트가 풀리거나 실리콘이 마모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앞유리에 흠집이 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눈, 비 예보시 와이퍼 세워두기

겨울철에 운전하는 분들이라면 특히 일기예보를 주의깊게 봐야 합니다. 눈이나 비 예보가 있을 때에는 와이퍼를 세워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눈이 많이 내릴 경우에는 눈의 무게로 인해서 자동차 와이퍼에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 또한 유리창과 와이퍼가 붙어서 얼어버린 경우에는 억지로 떼어내려고 하거나 날카로운 것으로 긁으면 유리나 와이퍼 모두 손상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눈과 함께 강풍이 예보되어있다면 와이퍼는 기존대로 눕혀 두는 것이 좋으며, 와이퍼와 유리 사이에 신문지를 넣어주면 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와이퍼가 얼었을 때

눈이나 비가 예보된 날이라면 지상 주차장보다는 지하 주차장에 주차를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와이퍼가 얼었을 때 억지로 떼어내려고 하면 와이퍼의 실리콘 부위가 손상될 수 있으며, 얼음 조각으로 인해서 자동차 앞유리 표면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손상이 없으려면 와이퍼를 서서히 녹여야 합니다. 자동차의 시동을 켜서 엔진을 예열한 후에 히터를 작동시키면 와이퍼를 쉽게 녹일 수 있습니다. 녹는데 조금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급한 일정이 있다면 미리 자동차의 상태를 확인하시고 안전하게 운행하시길 바랍니다.

 

4. 겨울철 전용 워셔액 사용하기

보통 사계절용 워셔액 많이 사용하실거라 생각합니다. 일반 워셔액은 추운 겨울에 얼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전용 워셔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겨울철에도 워셔액을 수시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리미리 채워두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겨울철 전용 워셔액을 사용하면 와이퍼 워셔액 탱크와 호스, 모터의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 전용 워셔액은 유리에 성에나 결빙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해 줍니다.

 

5. 계절에 맞는 와이퍼 사용하기

자동차 와이퍼도 계절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겨울철에 겨울용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겨울에는 일체형 와이퍼나 발수코팅 와이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와이퍼를 사용하게 되면 틈새 사이로 눈이 쌓여서 얼어붙기 쉽습니다. 또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변형이 되기도 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발수코팅 와이퍼를 사용하면 물방울이 또르르 흐르도록 발수처리를 해주기 때문에 눈비가 잦은 겨울철에 운전 시야 확보에 큰 도움을 줍니다.

 

 

자동차 와이퍼는 운전자가 시야확보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교체해줘야 하는 소모품이기도 합니다. 와이퍼를 작동을 하는데요 운전 시야가 좋지 않고 소음이나 떨림이 있다면 교체해줘야 합니다. 특히 겨울철에 출근길이나 외출을 할 때 와이퍼가 얼어붙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매우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미리미리 와이퍼를 잘 관리해서 안전한 겨울나시길 바랍니다.

 

 

 

728x90
LIST

댓글